2025-02-17
THINKFORBL 사보 기술 파트 43호
인공지능(AI) 시장 동향 ⑥
Thinkforbl
 

 

KNOWLEDGE

인공지능 시장 동향

‘딥시크’ 한국 AI 앱 시장 장악하나…

중국 스타트업이 만든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딥시크(DeepSeek)’가 국내에서 빠르게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과 데이터 처리 방식의 불투명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단숨에 한국 2위 AI 애플리케이션(앱)에 등극했다. 지난 1월 4주 차 기준 사용자 수 1위는 챗GPT로 주간 사용자 수 493만 명을 기록했다. 2위는 지난달 출시된 중국 AI 앱 ‘딥시크’로 121만 명의 사용자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딥시크 성장세에는 높은 번역 품질과 강력한 AI 검색 기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데이터 처리 방식의 불투명성과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국내 이용자들은 크게 개의치 않고 빠르게 유입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단돈 560만 달러(약 81억 원)에 미국 빅테크 인공지능(AI)에 버금가거나 더 뛰어난 AI를 만들었다는 딥시크 주장이 사실을 왜곡하고 있을 수 있다는 반박이 나왔다. 1월 31일(현지 시각) CNBC에 따르면 반도체 리서치‧컨설팅 업체인 세미어낼리시스는 딥시크의 하드웨어 비용 지출이 5억 달러(약 7290억 원)를 웃돌았을 것으로 추산했다. 딥시크도 560만 달러가 전부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딥시크는 자사 AI인 R1 ‘최종 훈련’에 든 비용이 560만 달러라고만 밝혔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AI를 구축했다고는 했지만, 초기 컴퓨팅 역량 확보 등에 얼마나 많은 돈이 들었는지는 함구했다. 딥시크는 훈련 비용마저 ‘공식 훈련’ 비용으로 “이전 연구와 AI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아키텍처나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제거 실험 비용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세미어낼리시스는 AI 모델을 훈련하는데 필요한 ‘인조 데이터’를 만들어내려면 “상당한 규모의 컴퓨팅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미 AI 스타트업 앤스로픽도 ‘클로드 3.5 소넷’ 훈련에만 수천만 달러가 들었지만, AI 구축을 위한 컴퓨팅 등 부대 비용에는 수십억 달러가 투입됐다는 점을 지적했다.

세미어낼리시스는 앤스로픽의 경우 아마존과 구글 등에서 수십억 달러 자본을 확보했다면서 AI 모델과 회사 운영에 얼마나 많은 돈이 투입돼야 하는지를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세미어낼리시스도 딥시크가 이런 정도의 비용과 컴퓨팅 능력으로 이런 성과를 냈다는 것은 독보적이라는 점은 틀림없다면서 딥시크 ‘R1’이 “매우 훌륭한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사진 / 김도현   


MAGAZINE LIST
 
2025-02-17
THINKFORBL 사보 기술 파트 43호
인공지능(AI) 시장 동향 ⑥
Thinkforbl
 
We think for a better life.